※ 부산신항 배후단지 조성공사 2공구
<Load cell Base 설치>
설치 위치는 “콘크리트 노면”, “아스콘”, “경사면” 등 현장 상황이나 고객이 요구하는 장소에 설치합니다.
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장소면 트럭스케일 설치도 가능합니다.
<Load cell 설치, 결선>
계량판을 지게차(또는 크레인)로 설치하고, 로드셀(6개)을 설치합니다.
<무정차 트럭스케일 설치완료>
2> 계량판이 용접구조로서 덤프의 주행에도 변형이 없습니다.
3> 덤프가 주행 중에 계량하여도 오차가 20kg 이하입니다.
(특허 제10-1237824호, 동하중 트럭스케일)
4> 계량판이 용접구조로서 슬러지가 침투할 틈이 없습니다.
5> 중앙Line 을 개방하였습니다.(슬러지 제거용)
6> 덤프의 추락방지를 위하여 가드레일을 설치하였습니다.
7> 덤프의 추락방지를 위하여 Non slip Wire(철근, 양측 각 2줄)이 있습니다.
8> 계량판의 입, 출구에 슬러지 방지판이 있습니다.
비고) 입, 출구의 Ramp는 과속방지턱 역할을 합니다.
<무정차 트럭스케일 설치전경 – 1>
<무정차 트럭스케일 설치전경 – 2>
안전 Fence가 설치되어있습니다.
<무정차 계량>
덤프가 Scale을 통과하면 계량이 완료됩니다.
전, 후방에 과속방지턱이 있으므로 과속이 불가합니다.
※ 부산신항 배후단지 조성공사 1공구
<계근대 성치현장에 자재 반입>
계근대의 자재는
1, 계량판 2개
2, Ramp frame 4개
3, 카메라, 중량표시기, 테블릿 기둥
<기초구조체>
구조체는 건설업체 측에서 시공한 것이므로 시공상태를 점검증입니다.
<계량판 설치 후 Ramp에 레미콘 타설>
<검정>
중앙Line에 슬러지 방지턱이 있으므로 분동이 기울어 있습니다.
<검정 후 시운전>
검정 완료 후에 덤프를 통과시켜봅니다.
Scale 뒤쪽의 구조물은 계량 안내문을 설치하기 위한 Frame입니다.
사진의 우측 기둥위에 설치한 Box는 차량번호 오인식을 운전자가 수정하는 PC Box입니다.
<차번 오인식 수정용 PC>
운전자가 자차의 차량번호를 확인하고 오인식의 경우 수정합니다.
<동하중 계량>
동하중계량을 처음 접해보는 운전기사가 머뭇거리는 경우가 있으며
꼬리물기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차량 통제를 합니다.
※ 부산신항 배후단지 조성공사 야간계량
<야간 계량준비>
조명에 타이머를 설치하여 야간계량 준비를 합니다.
<야간의 동하중계량>
덤프 기사들은 주로 야간운행을 합니다.
야간계량 준비는 조명을 켜주는 것 외에 주간 계량과 같습니다.
<계량집계표>
<특허증>
특허등록 제품으로 특허청이 제품의 성능을 보장합니다.
-감사합니다.-
엠티스케일 대표
정밀측정기술사 김두봉 배상
<영업담당 : 010-5389-1085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