무정차 계근대 설치사례 – 2

<트럭스케일 설치위치 선정>

설치 위치를 선정합니다.
당초 설치위치는 주차 요금소 이었는데 여기에 하이패스 트럭스케일을 설치하기로 하였습니다. (요금소 박스는 계량실)
설치위치에 카메라용 루프코일과 과속방지턱이 있었는데 코일과 과속방지턱은 손상시키지않고 노면에 직접 설치하기로 하였습니다.

<계량판 용접>

 계량판 용접 장면입니다.
 계량판이 용접 중에 변형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2개의 계량판을 붙여놓고 용접합니다.

<계량판 제작>

계량판 제작 장면입니다. 배면작업을 하기 위하여 판을 뒤집는 장면.

<계량판 출고 대기>

계량판 제작완료(출고 대기)
제작 완료하고 출고 대기 중입니다.

<Base판 정 위치>

로드셀 베이스 판을 설치하기 위하여 위치를 잡는 장면입니다.
설치위치에 있는 루프코일과 과속방지턱을 피해서 위치를 잡았습니다.
(약 1년 정도 사용하고 이전설치 할 예정입니다.)
설치노면은 아스콘 포장 면입니다.

<Base판 그라우트>

로드셀 베이스 판에 아스콘 스파이크를 박고 용접 하고 수평을 맞춘 다음,
그라우트를 합니다.(그라우트 재료 : QP-600)

<첫번째 계량판 설치>

첫 번째 계량판을 설치합니다.
(로드셀 설치 및 수평조절)

<두번째 계량판 설치>

두 번째 계량판을 설치합니다.
본 트럭스케일의 규격은 10m(2판)이므로 계량판 설치는 완성하는 것입니다.

 

<트럭스케일 설치완료>

트럭스케일이 설치 완료 되었습니다.
계량판 2판을 설치하고 Ramp를 설치하면 트럭스케일 설치가 완료됩니다.

<계량 장면 정면 사진>

정상 계량 중입니다.

<계량 장면 후면 사진>

 

<모니터 사진>

 “하이패스 트럭스케일”은 “하이패스계량”과 “정지계량”겸용입니다.
 “경사 노면”에도 설치가 가능합니다.
  주행방향의 경사면에는 노면 경사에 맞추어 설치합니다.
 다만 법선방향의 경사는 덤프가 미끄러질 우려가 있으므로 수평을 맞추어서 설치합니다.
 본 예도 법선방향으로 구배가 2.8°가 있었는데 수평을 맞추어서 설치하였습니다.
 주행 방향의 경사는 수평을 맞출 필요는 없습니다.

<제작사 마크와 스테이로드>

 제작사 마크와 스테이로드(검정색 판)입니다.
 스테이로드는 “하이패스 계량”을 실현하기위한 필수부품입니다.
 즉 하이패스 계량을 하기위하여 계량판이 스평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 부품입니다. (특허등록의 핵심부품입니다.)
 계량판과 기초구조체 사이에 스테이로드가 설치되어있으므로 슬러지가 침투할 틈이 없습니다.
 (일반 트럭스케일은 계량판과 기초 사이에 틈(약 15mm)이 있으므로,  이 틈으로 슬러지가 다량 침투합니다.)

<정상가동>

“서울시 농수산식품공사”(가락시장 북문 출구)에서 정상 가동하고 있습니다.

-감사합니다.-

<영업담당 : 010-5389-1085>